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정보)/생활정보

인버터 에어컨과 정속형 에어컨 작동원리와 구분방법 6가지

by 부기BOO 2025. 5. 7.
반응형

안녕하세요 부기입니다.
요즘 들어 기온이 예년보다 빠르게 오르면서 에어컨 사용 시기가 점점 앞당겨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에어컨을 고르려다 보면 ‘인버터’와 ‘정속형’이라는 말에 막히는 경우 많죠.

두 방식의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는 게 중요합니다.
오늘은 인버 에어컨과 정속형 에어컨의 작동원리와 구분하는 방법 6가지에 대한 글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1. 에어컨의 기본 작동 구조

에어컨은 간단히 말해 실내의 더운 공기를 빨아들여 차갑게 바꾸는 장치입니다.
실내기에서 더운 공기를 흡수 → 냉매를 통해 열 전달 → 실외기에서 열 방출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실내 온도를 낮추죠.

한국 에너지공단

여기서 중요한 건 '냉매 압축기(컴프레서)'의 작동 방식이에요.
정속형과 인버터형의 차이는 바로 이 압축기를 어떻게 돌리는가에 따라 나뉩니다.
 


2. 정속형 에어컨의 작동원리


정속형은 이름처럼 속도가 일정(정속) 합니다.
컴프레서가 켜질 땐 100%로 작동하고,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꺼져요.
그리고 온도가 다시 올라가면 다시 100%로 작동.

즉, 켜졌다 꺼졌다를 반복하는 거죠.
이 과정에서 전기 소모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어요.

🔁 작동 패턴 예시:
ON(100%) → OFF → ON(100%) → OFF
 


3. 인버터 에어컨의 작동원리


인버터 에어컨은 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요.
온도가 목표치에 가까워지면 속도를 줄이고, 유지할 땐 최소한의 출력만 사용합니다.

즉, 항상 돌아가긴 하는데, 속도 조절로 에너지 낭비를 줄이는 거죠.

🎚 작동 패턴 예시:
ON(100%) → 중간 출력 → 저속 유지

압축기 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해 ‘필요한 만큼만’ 작동하기 때문에 전기요금이 훨씬 적게 나옵니다.



4. 구분방법

우리집 에어컨은 인버터 에어컨일까? 정속형 에어컨일까?

모델명으로 확인하는 방법


가장 확실한 방법은 모델명 검색이에요.

에어컨 실내기나 실외기 측면에 붙은 스티커를 보면 모델명이 적혀 있는데, 이걸 네이버나 다나와,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검색하면 됩니다.

모델명에 'INV', 'INVERTER'가 포함되어 있으면 거의 100% 인버터형이에요.

반면 아무런 표기가 없거나, 설명서에서도 속도 조절 기능 언급이 없다면 정속형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
-인버터형: LG FQ18HDWHRN

-정속형: LG LS-C126C
 
LG휘센 ALL NEW 칸/위너 2in1에어컨 (18평+6평) 실외기포함/기본설치비별도/서울 .경기 수도권설치, 스탠드LG 휘센 업소용 스탠드 냉난방기 냉온풍기 15평형 23평형 30평형 36평형 40평형, PW1453T9FR (40평형) 삼상, 일반배관형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제품 외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포인트


실내기나 실외기 외관에 'Inverter'라는 단어가 써 있으면 인버터형이에요.
브랜드마다 디자인은 다르지만, 대부분 인버터형은 고급형 모델로 분류되어 외관에 표시를 해둡니다.
정속형은 보통 이런 표기가 없고, 단순한 디자인이 많습니다.

하지만 외관만으로 100% 판단하기엔 어렵기 때문에 다른 정보와 함께 확인하는 게 좋아요.



냉매 종류로 구별하는 핵심 팁


냉매명을 보면 어느 정도 판단이 돼요.
스티커에 표시된 냉매 종류가 R-410A 또는 R-32면 인버터형일 가능성이 큽니다.
반면 R-22는 정속형에서 자주 사용됐던 냉매예요. 요즘은 거의 단종됐죠.

✅ 인버터형 → R-410A, R-32
❌ 정속형 → R-22

다만 예외도 있으니 냉매 정보만으로 판단하진 마세요.

좌 - 인버터/우 - 정속형

 

반응형


전기용품 안전관리 스티커 보는 법


에어컨 측면에 부착된 '전기용품 안전관리법 스티커'는 진짜 핵심 포인트입니다.

여기서 '정격냉방능력' 항목을 확인하세요!

인버터형: 최대 / 정격 / 최소 또는 정격 / 중간 / 최소 식으로 2~3개 구간 표기
정속형: 정격냉방능력 하나만 단일 수치로 표시
이거 하나만 제대로 확인해도 거의 정확하게 구분 가능해요.


 

실외기 작동 방식으로 추정하는 방법


직접 에어컨을 틀어놓고 실외기 소리를 들어보는 방법도 있어요.

인버터형은 실외기가 작게 돌아가다가 점점 강해지거나 약해지는 느낌.

정속형은 작동-정지-작동을 반복하면서 ‘툭’ 꺼지는 소리가 납니다.

특히 야간에는 이 차이가 더 뚜렷하게 느껴져요.

단, 무더운 여름 낮에는 둘 다 계속 돌아갈 수 있으니 참고만 하세요.


 

제조연도로 구분하는 간단한 기준


에어컨이 2011년 이전에 제조됐다면 정속형일 가능성이 큽니다.

그 이후부터는 대부분 인버터형이 보급되기 시작했거든요.

물론 예외도 있지만, 제조연도는 판단 기준 중 하나가 될 수 있어요.

제조년월은 실외기 뒷면이나 스티커에 적혀 있습니다.

예: '제조년월: 2010.06' → 정속형일 가능성 높음

다양한 정보 종합으로 정확도 높이기
정확한 판단을 위해선 한 가지 기준만 보지 말고

모델명 검색
냉매 확인
냉방능력 표기
실외기 작동
제조연도

이 다섯 가지를 조합해서 확인해보세요.

특히 중고 구매 시에는 꼭 모델명과 스티커를 사진으로 받아서
검색과 비교 후 결정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5. 어떤 제품이 나에게 더 적합할까?

 

✅ 인버터형 추천
① 장시간 사용하는 분  
② 여름철 전기요금 걱정이 있는 가정  
③ 조용하고 쾌적한 환경을 원하는 경우  
④ 최신형 모델 선호 시

 

❌ 정속형 추천
① 사용 시간이 짧고, 전기요금이 큰 부담이 아닌 경우  
② 초기 구매 비용을 절감하고 싶은 경우  
③ 임대주택이나 보조용 에어컨으로 사용하는 경우
 
에어컨 구매 전 작동원리를 알고 조건에 맞는 현명한 소비하시길 바랍니다.


 

에어컨과 선풍기 효율적인 사용 방향설정

에어컨과 선풍기를 같이 사용하면 에너지 절약효율이 20%나 절약된다고 합니다.즉 선풍기를 에어컨과 함께 틀게 되면 평소보다 에어컨 온도를 2-3°C 높게 설정해도 된다는 말입니다.에어컨과 선

mystory-boogie.tistory.com

 

여름철 에어컨 전기요금(전기세) 아끼는 방법 6가지

무더운 여름, 에어컨 없이는 견디기 힘들지만 전기요금 걱정에 마음껏 사용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하지만 몇 가지 똑똑한 방법을 실천하면 시원함은 유지하면서도 전기세를 절약할 수 있

mystory-boogie.tistory.com

 

반응형